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엄마의 말말말, 아이의 마음을 성장시키는 대화방법

Q. 아이가 어린이집에 다니면서 있었던 일을 가끔 이야기해요. 친구가 장난감을 빼앗았다거나 스티커를 많이 못 받았다거나 맛없는 반찬이 나와서 먹지 않았다는 이야기들이요. 즐겁고 신났던 이야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속상했거나 화가 났을 법한 이야기들이에요. 그냥 들어주고 있는데 그것만으로 부족한 것 같아요. 집에 와서 이런 이야기를 하는 우리 아이, 어떻게 대화해야 할까요. 

 이 시기 아이는 사회에 첫발을 내딛게 됩니다. 어릴 때부터 기관에 다니던 아이들도 형님반으로 진급하게 되면서 아기반 때와는 다른 경험을 하게 되지요. 그전까지는 주변에 부모가 있거나 선생님이 더 가까이 보살펴주고, 또래들과 문제가 생겨도 금세 함께 해결해 주지만, 이제부터는 혼자서 해야 하는 일이 많아요. 그래서 문제가 생겨도 바로 도와주거나 해결해 줄 수 없고 특히 부모는 아이가 기관에 있는 시간 동안은 지켜보는 것 말고는 어떻게 할 수가 없지요. 그래서 이 시기의 부모는 아이와의 대화를 통해 아이의 생각을 들여다보고 할 수 있다 믿어주고 격려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가 실수한 일, 잘 해내지 못한 일을 이야기할 때

▶ 꾹 참고 들어요. 

 아이의 마음을 성장시키는 대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청’입니다. 보통 아이는 나에게 일어났던 부정적이었던 일을 부모에게 이야기하게 됩니다. 이때, 이 ‘경청’이 가장 힘을 발휘하는 순간입니다. 부모는 아이에게 더 좋은 방법이 있다고 알려주고 싶고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주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이럴 때는 꾹 참고 들어만 주세요. ‘경청’ 하지 않고 방법을 먼저 알려 주다 보면, 아이가 스스로 문제를 생각하고 해결할 수 있는 생각의 힘을 알 수 없어요. 아이의 이야기를 아무런 평가 없이 들어주다 보면 아이는 말하면서 무엇이 문제였는지 스스로 알아채기도 해요. 때로는 어떻게 해야 할지 말하는 날도 있지요. 이렇게 아이의 생각주머니는 점점 커집니다. 


아이가 속상한 일, 화나는 일을 이야기할 때

▶ 공감해 주세요. 

 아이가 속상하고 실망하고 화가 나는 마음을 표현할 때에는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주세요. “우리 OO가 정말 속상했겠다.”라고 말이죠. 때로 아이는 화가 나는 마음을 “그 친구 때릴 거야!”라고 말하기도 해요. 그러면 부모는 아이를 바르게 키워야 한다는 생각에 “때리면 안 되지! 그건 나쁜 행동이야”와 같은 말들로 가르치게 됩니다. 아이는 화가 난다는 말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표현을 다르게 한다는 것을 꼭 이해해 주세요. 이럴 때는 “OO가 친구를 때리고 싶을 만큼 화가 났구나~”라고 아이의 진짜 마음을 콕 집어 공감해 주세요. 아이는 부모로부터 마음을 이해받는 것만으로도 화도 풀리고 속상함도 달래지는 경험을 하면서 건강하게 스트레스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게 됩니다.


또래와의 다툼이나 갈등을 이야기할 때

▶ 사실을 이야기해 주세요. 

 아이가 부모에게 친구와 싸우거나 사이좋게 지내지 못한 경험을 이야기할 때가 참 많습니다. 유치원에서도 그렇지만 부모와 함께 있을 때도 다툼은 종종 일어나지요. 우리는 자주 “다투지 말고 사이좋게 지내”라고 말하게 됩니다. 그러나 어떻게 하는 것이 사이좋게 지내는 것인지 아이는 잘 알지 못합니다. 부모가 이때 해주어야 하는 일은 다른 사람의 기분을 잘 설명해 주는 것입니다. “OO가 그래서 싫었구나. 그런데 그 친구도 OOO게 하는 게 싫었대.”라고 말이지요. 이렇게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 주며 다른 친구의 마음을 설명해 주면 아이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아이가 될 수 있습니다. 아이는 친구와의 다툼 속에서 어떻게 하면 사이좋게 지낼 수 있는지 알게 되지요. 


<대화를 위한 부모의 바람직한 태도> 

- 아이의 눈을 보고 집중해서 들어요.
- 아이의 눈높이에서 이야기를 듣고 상황이나 감정을 이해해요.
- 아이가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음을 믿고 대화해요.
- 부모의 감정이나 생각을 섣불리 아이에게 쏟아내지 않아요.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편애 없는 부모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아이들을 보면 간혹 "동생 때문에, 언니 때문에, 형 때문에, 오빠 때문에 이렇게 되었다"라고 이야기하는 아이들이 있는 반면 또 따른 경우는 다른 형제에 비해서 "나는 못났다"라고 생각하며 스스로의 존재를 부족하게 바라보며 고통스러워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편애하는 경우도 있지만, 부모가 편애하지 않았더라도 편애를 받았다고 느꼈다면 심리적 피해자가 되는 것입니다.   부모 입장에서는 일부러 하잖게 대하려고 하고가 상처 많은 아이로 키우고 싶을 리 만무합니다. 아이가 성장하면서 상처를 받았다고 고백할 때 부모는 또 다른 충격과 상처를 받게 되는 이유입니다. 어떻게 해야 자녀의 마음을 알아주고, 소중하게 대해준다는 느낌을 받게 하며. 스스로 존재를 축하받았다는 느낌을 갖도록 도와줄 수 있을까요?   가장 중요한 것은 먼저 아이의 마음을 유추해 읽어주는 것입니다.   떼를 부리는 경우 아이에게 '왜' 그러는지 물어주는 좋은 엄마들이 많은데 이보다 한 단계 더 발전하면 좋습니다. 왜 인지 물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표현하지 못할 경우 왜 그런지 끊임없이 유추해서 “동욱이가 이것을 원하는구나"라고 물어봐 주어야 합니다.  어쩌면 두 자녀를 비교하며 발달을 체크하는 것이 아이를 더 잘 양육하기 위한 노력일 수도 있지만 아주 조심해야 합니다. 이제 막 자기 개념을 형성하고 자기 자아를 만들어가는 아이들에게 비교는 치명적인 상처로 남을 수 있기 때문에 편애하지 않고 한 명, 한 명 소중히 대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럼 오늘부터 시작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자녀의 존재 자체를 축하해 주고 특별히 대해주기로요. 자기 전, 자녀들에게 이야기를 해주세요.  "나는 이 세상에서 너희들을 내 자녀로 만나게 되어 정말 큰 축복이라고 생각해. 엄마는 너희와 함께 잘 수 있어서 정말 행복해. 내 아이들로 태어나주어서 정말 고마워"라고요.   그때 자녀가 다른 형제자매와 비교하며 "누가 더?"라

칭찬을 할 때는 구체적인 칭찬이 아이의 기억 속에 남길 수 있다

적응 기간 아이들의 특징  새 학년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이 되면 부모님들은 우리 아이가 새 친구들은 잘 사귈지, 새로운 담임선생님과 잘 적응할지 걱정이 많아진다. 아이마다 다르긴 하지만 낯선 사람이나 낯선 곳에 가면 호기심이 생겨 말을 걸어 보거나 살펴보느라 열심히 뛰어다니는 아이들이 있지만, 새로운 곳에 가면 긴장하며 어색해하는 아이들도 있다. 이런 아이들은 엄마 다리 한쪽이나 팔에 매달려서 힐끔힐끔 주변을 둘러보거나 너무 긴장한 나무지 울어버리기도 한다. 목소리를 내어서 입을 열고 싶지만 좀처럼 입은 떨어지지 않는다. 뭔가 말을 해 보려고 하면 어른들이 쳐다보는 시선들이 참으로 불편하고 부담스러워서 견디기가 어렵다. 그래서 엄마 팔이라도 잡고 있으면 좀 마음이라도 편안할 것 같기도 하다. 부모가 해야 할 일  엄마가 자꾸 밀어내면 아이들의 불안은 더 커지기에 엄마의 기다림이 필요한 순간이다. 아이의 안정감을 더 빨라지도록 도와서 아이의 적응을 도우려면 엄마의 다독임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여기 처음 와보지" ,"오랜만에 보아서 어색하지."라면서 "괜찮아 원래 처음엔 다 어색해"라면서 다독임이 필요하다. 엄마의 기다림은 아이의 낯설어하는 시간과 어색한 마음, 긴장된 마음들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아이만을 다독이다 보면 새로운 것을 두려워하는 아이의 마음은 제자리에 머물고 싶어서 도전하지 않고 피하기만 하게 된다. 그래서 작은 것에 도전하고 시도하는 경험을 통해서 성공 경험을 챙겨주면 아이의 소심한 성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엄마의 집안일을 도왔을 때, 스스로 새로운 놀이를 찾았을 때, 새로운 장난감을 조작하여서 성공하였을 때 등 스스로 도전한 것에 칭찬하면 좋다. 단, 이때 아이가 아직 준비되지 않았는데 도전을 위해서 아이를 재촉하게 되면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 버릴 수 있다. 아이가 할 수 있을 만큼씩만 도전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서  '어두운 방에 들어갈 때 처음

훈육에서 놓치기 쉬운 것들 - 아이의 생활습관 형성 알아두면 좋은 원칙

Q. 4세(만 3세) 아이와 함께하는 저의 하루는 전쟁으로 시작하여 전쟁으로 끝납니다. 등원시간에 맞춰 아이를 깨우고 준비하는 것, 씻는 것, 먹는 것, 잠자는 것 어느 하나 쉽게 되는 것이 없습니다. 최소 3번 이상은 이야기를 해야 하거나 목소리를 높여야 그제야 아이가 자기 할 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매일 이런 전쟁이 반복되다 보니 저는 저대로 지쳐 아이의 행동에 화부터 나기 시작하고, 생활습관이 제대로 잡히지 않아 기관이나 학교생활에 어려움은 없을까 걱정됩니다. 아이의 올바른 생활습관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그만큼 어린 시절에 바람직한 습관을 잘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일 텐데요, 하지만 만 3세 아이의 버릇 길들이기는 생각보다 녹록지 않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아이가 스스로 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작동하는 때이므로 부모의 지시에 반항 아닌 반항을 하기도 하고 자기 멋대로 저지레를 하다가 해야 하는 일을 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부모의 체력적, 심리적 에너지가 많이 소진될 수 있으며, 양육자는 혹시나 잘못된 생활습관이 아이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까 불안을 느끼기도 합니다.   부모들과 아이의 생활습관 형성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을 고려하여 아이가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데 고려하면 좋을 몇 가지 원칙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자 합니다. 되도록 정해진 시간이나 순서에 따라 일과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일어나기, 잠자기, 세수/양치하기, 목욕하기 등 하루에 반복적으로 하는 일들은 시간을 정하여 그 시간에 할 수 있도록 연습합니다. 아직 시계를 보고 시간을 말할 수 있는 나이는 아니지만, ‘(손가락으로 시계의 숫자를 가리키면서) 밥을 먹고 긴 바늘이 여기에 가면 목욕을 할 거야.’라는 식으로 시곗바늘 위치를 알려주거나 ‘